본문 바로가기
Appropriate care management/요양급여 심사기준

자동봉합기 급여기준

by 뚠뚠뚠뚠 뚠빵이 2023. 12. 11.

안녕하세요.

뚠뚠뚠뚠 뚠빵이 입니다!!!

오늘은 수술시에 사용하는 자동봉합기의 급여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봉합기 급여기준     

1. 자동 봉합기는 식약처 허가 사항 범위내에서 사용한 경우 다음과 같이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음 -

 가. 분리형-직선형
  1) 적응증 및 인정개수
   가) 몸체 
    특수 침 적응증과 동일: 1개(관혈적&비관혈적)

   나) 특수 침
    (1) 후두
     - 후두 전적출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2) 폐
     - 폐 기포 절제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폐 쐐기 절제술: 2개(쐐기당)(관혈적&비관혈적)
     - 폐엽 절제술, 폐 구역절제술 : 3개(관혈적), 6개(비관혈적)
     - 폐전적출술: 4개(관혈적), 5개(비관혈적)
    (3) 심장
       - 부정맥 수술: 1개(사례별 인정)
    (4) 식도
     - 식도 수술 : 2개(관혈적&비관혈적)
    (5) 위
      - 위 수술: 6개(관혈적&비관혈적)
       * 비관혈적 복강 내 문합 시 추가 2개
    (6) 간/담췌 
     - 담낭 수술: 1개(관혈적&비관혈적)
     - 담도 수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 간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3구역 절제술 시 추가 2개
     - 췌장 수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 미부 절제 시 2개
    (7) 비장
     - 비장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8) 장
     - 소장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연속 가로장 성형술 시 사례별로 실사용량 인정
     - 결장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비관혈적 복강 내 문합 시 추가 2개
     - 직장수술 : 2개(관혈적&비관혈적)
       * 결장낭 조성술 시 추가 2개, 회장낭 항문 문합술 시 추가 2개
    (9) 비뇨기 
     - 신 적출술, 전립선 정낭 전적출술: 3개(관혈적&비관혈적)
     - 신 요관 적출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 방광 대치술, 방광 전적출술, 방광 확대 성형술(장문합을 실시하는 경우), 요 관장 피부 문합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10) 자궁/자궁부속기 
     - 자궁 적출술, 자궁 부속기 절제술, 난소 절제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광범위 자궁 적출술 시 추가 2개

 나. 일체형(몸체+특수 침)
  1) 적응증 및 인정개수
   가) 직선형
    - 식도 절제 후 문합술, 결장반절제술, 직장수술: 1개(관혈적)
    - 직장절제술 후 문합술- 전방 절제, 저위전방 절제 : 1개(비관혈적)
   나) 굴곡형
    - 식도 절제 후 문합술, 위절제술 후 문합술(식도-위, 식도-공장, 위-십이지장, 위-공장, 공장-공장), 결장반절제술, 직장절제술 후 문합술(전방·저위전방 절제, 회장낭항문문합술, 결장 전절제술, 하트만씨수술복원술) : 1개(관혈적 & 비관혈적)

 다. 일체형과 분리형 자동 봉합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적응증 및 인정개수에 한하여 요양급여를 인정함. 다만, 결장반절제술에 일체형과 분리형 자동 봉합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체형 1개, 분리형 1개를 인정함.
 
2. 상기 적응증별 인정개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함.
                              - 다음 -
 가. 분리형-직선형 몸체: 사례별 인정
 나. 분리형-직선형 특수 침:「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본인부담률을 80%로 적용
 다. 일체형(몸체+특수 침): 사례별 인정

(고시 제2022-188호, 2022.8.1. 시행)

■ 개정 사유: 부정맥 수술 시 좌심방을 절제한 경우 자동 봉합기를 사례별 인정토록 급여기준 확대
============================================================================================================================
■ 변경 전 고시 번호 : 고시 제2020-70호, '20.4.1. 시행
■ 변경 전 고시 내용:

1. 자동 봉합기는 식약처 허가 사항 범위내에서 사용한 경우 다음과 같이 요양급여를 인정함.

                             - 다음 -

 가. 분리형-직선형
  1) 적응증 및 인정개수
   가) 몸체 
    특수 침 적응증과 동일: 1개(관혈적&비관혈적)

   나) 특수 침
    (1) 후두
     - 후두 전 적출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2) 폐
     - 폐 기포 절제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폐 쐐기 절제술: 2개(쐐기당)(관혈적&비관혈적)
     - 폐엽 절제술, 폐구역 절제술 : 3개(관혈적), 6개(비관혈적)
     - 폐 전적출술: 4개(관혈적), 5개(비관혈적)
    (3) 식도
     - 식도 수술 : 2개(관혈적&비관혈적)
    (4) 위
      - 위 수술: 6개(관혈적&비관혈적)
       * 비관혈적 복강 내 문합 시 추가 2개
    (5) 간/담췌 
     - 담낭 수술: 1개(관혈적&비관혈적)
     - 담도 수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 간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3구역 절제술 시 추가 2개
     - 췌장 수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 미부 절제 시 2개
    (6) 비장
     - 비장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7) 장
     - 소장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연속 가로장 성형술 시 사례별로 실사용량 인정
     - 결장 수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비관혈적 복강 내 문합 시 추가 2개
     - 직장수술 : 2개(관혈적&비관혈적)
       * 결장낭 조성술 시 추가 2개, 회장낭 항문 문합술 시 추가 2개
    (8) 비뇨기 
     - 신 적출술, 전립선 정낭 전적출술: 3개(관혈적&비관혈적)
     - 신 요관 적출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 방광 대치술, 방광 전적출술, 방광 확대 성형술(장문합을 실시하는 경우), 요 관장 피부 문합술: 4개(관혈적&비관혈적)
    (9) 자궁/자궁부속기 
     - 자궁 적출술, 자궁 부속기 절제술, 난소 절제술: 2개(관혈적&비관혈적)
       * 광범위 자궁 적출술 시 추가 2개

 나. 일체형(몸체+특수 침)
  1) 적응증 및 인정개수
   가) 직선형
    - 식도 절제 후 문합술, 결장반절제술, 직장 수술: 1개(관혈적)
    - 직장 절제술 후 문합술- 전방 절제, 저위전방 절제 : 1개(비관혈적)
   나) 굴곡형
    - 식도 절제 후 문합술, 위절제술 후 문합술(식도-위, 식도-공장, 위-십이지장, 위-공장, 공장-공장), 결장반절제술, 직장 절제술 후 문합술(전방·저위전방 절제, 회장낭항문문합술, 결장 전절제술, 하트만씨수술복원술) : 1개(관혈적 & 비관혈적)

 다. 일체형과 분리형 자동 봉합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적응증 및 인정개수에 한하여 요양급여를 인정함. 다만, 결장반절제술에 일체형과 분리형 자동 봉합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체형 1개, 분리형 1개를 인정함.
 
2. 상기 적응증별 인정개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함.
                              - 다음 -
 가. 분리형-직선형 몸체: 사례별 인정
 나. 분리형-직선형 특수 침:「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본인부담률을 80%로 적용
 다. 일체형(몸체+특수 침): 사례별 인정